부모님의 금융 안전 지키기 - 디지털 취약 계층을 위한 은행 앱 설정 팁
스마트폰 하나로 모든 은행 업무를 처리하는 시대, 편리함은 커졌지만 디지털 금융 취약 계층인 우리 부모님 세대의 걱정은 깊어지고 있습니다.
복잡한 인증 절차와 쉴 새 없이 진화하는 피싱(Phishing) 수법 앞에서, 자녀 세대가 나서서 안전망을 구축해 드려야 할 때입니다.
부모님의 금융 안전은 '쉽고, 강력하며, 눈에 보이는' 보안 설정에서 시작됩니다. 지금부터 부모님의 은행 앱(App)을 가장 안전하게 설정하고 관리하는 실용적인 팁을 단계별로 알려드립니다.
1단계: 가장 쉽고 강력한 '로그인 보안' 설정
부모님께 복잡한 비밀번호를 외우게 하는 것은 오히려 보안에 취약합니다. 가장 쉽고 안전한 인증 수단을 활용해 보세요.
1. 생체 인증 (지문/얼굴 인식) 필수 설정
- 설정 이유: 비밀번호 입력보다 훨씬 빠르고, 해킹이 거의 불가능할 정도로 강력합니다.
- 실행 팁: 부모님 스마트폰의 지문 또는 얼굴 인식 기능을 먼저 활성화한 후, 은행 앱 설정에서 '생체 인증 로그인'을 메인 로그인 방식으로 지정해 드립니다.
2. 간편 비밀번호 (PIN) 6자리 최소화
- 설정 이유: 생체 인증이 불가능한 경우를 대비한 최소한의 대안입니다. 숫자가 너무 길면 오히려 실수하거나 종이에 적어두실 위험이 있습니다.
- 실행 팁: 6자리 간편 비밀번호는 부모님이 기억하기 쉽지만, 주민등록번호나 전화번호 같은 유추하기 쉬운 숫자는 피하도록 지도합니다.
3. '타 기기 로그인 차단' 기능 활성화
- 설정 이유: 부모님의 스마트폰 외 다른 기기에서는 아예 로그인이 불가능하게 만듭니다. 해커가 정보를 탈취해도 원격 접근을 막을 수 있습니다.
- 실행 팁: 은행 앱의 '보안 설정' 또는 '로그인 관리' 메뉴에서 이 기능을 찾아 반드시 활성화합니다.
2단계: 해킹과 보이스피싱을 막는 '거래 안전망' 구축
로그인에 성공하더라도, 큰 금액이 쉽게 빠져나가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안전장치가 필요합니다.
1. '이체 한도'는 최소 금액으로 대폭 축소
- 설정 이유: 해킹이나 보이스피싱으로 인해 돈이 빠져나가더라도 피해 금액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.
- 실행 팁: 하루 '이체 한도'를 부모님이 평소 쓰시는 금액(예: 1일 100만 원, 1회 50만 원) 수준으로 낮춥니다. 큰 돈을 이체해야 할 때는 자녀가 일시적으로 한도를 올렸다가 다시 낮춰 드립니다.
2. '지연 이체 서비스' 활용
- 설정 이유: 이체 후 일정 시간(예: 30분~1시간)이 지난 뒤에 출금되도록 설정하는 서비스입니다. 보이스피싱 등으로 순간적으로 송금했더라도, 취소할 수 있는 골든타임을 확보해 줍니다.
- 실행 팁: 은행 앱 설정에서 '지연 이체 서비스'를 신청해 드리고, 돈을 보낸 직후라도 의심스러우면 즉시 은행에 연락하라고 알려드립니다.
3. 'ARS 추가 인증' 필수 설정
- 설정 이유: 고액 이체 시 등록된 본인 전화로 ARS 인증까지 거치게 하여, 해커가 비밀번호를 알아도 뚫기 어렵게 만듭니다.
- 실행 팁: '보안 강화 서비스' 메뉴에서 ARS 추가 인증을 활성하고, 부모님께는 "은행이 걸어온 전화라도 절대 비밀번호를 누르지 말고, 앱 화면에 뜬 번호를 누르라"고 교육합니다.
3단계: 부모님 스마트폰의 '보안 환경' 점검
은행 앱 자체의 설정만큼이나, 스마트폰 운영체제의 환경 관리도 중요합니다.
1. '출처를 알 수 없는 앱 설치' 차단
- 설정 이유: 악성코드가 포함된 가짜 은행 앱이나 피싱 앱이 설치되는 것을 원천 차단합니다. 보이스피싱의 90% 이상은 이 경로로 발생합니다.
- 실행 팁 (안드로이드 기준): [설정] → [생체 인식 및 보안] 또는 [앱 및 알림] 메뉴에서 '출처를 알 수 없는 앱 설치 허용' 기능을 반드시 끕니다.
2. '앱 접근 권한' 주기적인 확인
- 설정 이유: 은행 앱이 불필요하게 카메라, 마이크, 주소록 등의 접근 권한을 요구하는지 확인합니다. 특히 '화면 녹화/캡처' 권한을 요구하는 앱은 악성 앱일 가능성이 높습니다.
- 실행 팁: 은행 앱뿐만 아니라, 모든 설치된 앱의 권한을 주기적으로 점검하여 불필요한 권한은 취소해 드립니다.
3. '알림 설정'을 활용한 실시간 감시망 구축
- 설정 이유: 출금, 입금, 로그인 시도 등 모든 금융 활동을 실시간으로 문자와 앱 알림으로 받아보게 합니다.
- 실행 팁: 부모님의 스마트폰뿐만 아니라, 자녀의 스마트폰에도 동일한 계좌의 '알림 서비스(PUSH 알림)'를 연동하여 함께 감시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.